서론
기업은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을 이루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시도합니다.
그중에서도 수직통합은 한 기업이 생산부터 유통까지 전체 공급 사슬을 소유하거나 통제하는 전략으로, 기업이 경쟁력을 향상하고 시장에서의 위치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로 대기업에서 이런 수직통합의 행위가 많이 일어납니다.
상대적으로 소규모 기업에 비해 자본금도 많고 몸집을 불리기 유리한 구조이기에 그런 수직통합이 많이 일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유통 대기업들이 자체 배송까지 하는 구조라고 하시면 이해가 빠르실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직통합의 의미와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론
수직통합에 대한 상세한 개념
수직통합은 기업이 자회사를 인수하거나 생산부터 유통에 이르는 전체 공급 사슬을 내부에서 통제하는 전략적 방법론입니다.
이 전략은 수직적인 구조를 형성하게 하여, 기업이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자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합니다.
이는 자사의 제품 또는 서비스의 전체적인 품질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음식료품 업체가 농장을 소유하여 원재료를 직접 생산하고, 그러한 원재료를 자신들의 제조 시설에서 가공하여 유통 채널까지 직접 관리하는 것이 수직통합의 한 예입니다.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종합적인 통제의 중요성
수직통합은 기업이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모든 단계를 종합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제품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의 문제나 재고 관리 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시장에서 우월한 위치를 차지하게 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시장에서의 지배력 확보의 중요성
수직통합은 기업이 시장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한 기업이 공급 사슬의 다양한 단계를 통제함으로써 경쟁사들과의 차별화를 이루고 시장에서 더 강력한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효율성과 혁신 촉진의 중요성
수직통합은 기업 내부에서의 협력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 큰 기여를 합니다.
제품 개발부터 마케팅에 이르는 모든 단계를 통합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기업은 더 빠르고 효율적인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새로운 아이디어나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단점
1. 시장 리스크
수직통합은 기업이 전체 공급 사슬을 통제함으로써 시장의 변화에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시장 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경쟁사들이 새로운 전략을 펼치는 것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2. 자원 소모
수직통합은 많은 자본과 시간이 소모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자회사를 인수하거나 새로운 생산 시설을 구축하는 데에는 상당한 비용과 리스크가 따르며, 이로 인해 기업의 재무적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용과 리스크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결론
수직통합은 기업이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시장에서의 지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도구입니다.
그러나 시장 리스크와 자원 소모 등의 단점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기업은 자체적인 상황과 목표를 고려하여 수직통합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성공적인 경영 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이러한 수직통합을 통해 누구는 성공해서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누구는 그에 따라 뒤쳐져서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기도 합니다.
쿠팡, 신세계, 그 외 다수의 대형 유통사들이 그 예시 입니다.
쿠팡과 신세계는 자체적인 배송 시스템을 구축하여서 몸집을 더 불렸고 그런 시장의 상황을 따라가지 못한 기업들은 도태되어 사라지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시작되어 국내까지 진출한 이베이만 해도 한때는 높은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다가 이제는 사람들이 이용하지 않습니다.
쿠팡은 티몬이나 위메프등과 같은 공동구매형 이커머스로 시작했다가 아예 유통공룡이 되어버렸습니다.
수직통합 전략은 이렇게 기업의 강력한 무기가 됩니다.
비즈니스를 하시는 분들은 이러한 시장 경제의 상황을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업집중도: 현대 경제의 이중날
서론 산업집중도의 개념과 중요성 산업집중도는 어떤 산업 분야나 지역에서 특정 기업이나 그룹이 독점적으로 시장을 지배하거나 극도로 많은 시장 점유율을 가지는 경향을 가리킨다. 이는 경
gregreyo.tistory.com
'Terms of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무분석의 개념과 필요성. (0) | 2024.03.07 |
---|---|
산업집중도: 현대 경제의 이중날 (0) | 2024.03.05 |
수평통합(horizontal integration[merger]) 어떤의미이죠? (0) | 2024.03.04 |
고용률이란? (0) | 2024.03.01 |
사회적기업(Social Enterprise) 평등을 추구하는 기업. (0) | 2024.02.29 |